질문답변

코로나 여파에 전공의 이탈까지 겹쳐…‘재정난’ 중앙의료원, 비상경영체제 돌입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지훈 작성일24-03-24 04:41 조회2회 댓글0건

본문

국가 책임 필수의료를 총괄하는 국립중앙의료원이 경영위기 극복을 위해 비상경영체제에 들어갔다고 21일 밝혔다.
지난 19일부터 비상경영체제로 전환한 국립중앙의료원은 코로나19 유행 대응 당시 재정난이 심해졌는데 최근 전공의 이탈까지 겹쳐 경영난이 심화됐다. 수련을 받던 전공의 71명 중 55명이 사직서를 냈고 전체 499개 병상 가운데 현재 가동 중인 병상 비율은 중증환자 위주로 40% 수준에 그치고 인스타 팔로우 구매 있다. 특히 공공의료의 중추 역할을 담당하는 의료원의 특성에 맞게 야간·휴일 비상진료를 확대했음에도 오히려 적자폭은 커졌다.
의료원 측은 경영난을 타개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강력한 자구책을 마련하고자 비상경영체제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주영수 국립중앙의료원장은 코로나19 대응 전담 공공병원으로 지정돼 일반 병동을 비우며 악화했던 경영수지 회복이 지연되면서 누적 적자폭이 커졌고, 최근 전공의 집단행동으로 인해 경영악화가 심화했다며 획기적인 수준의 수입 개선 인스타 팔로우 구매 및 지출 감소를 이룰 수 있도록 비상경영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국립중앙의료원의 비상경영체제 돌입은 이른바 ‘빅5’ 병원(서울대·세브란스·서울성모·서울아산·삼성서울병원) 등 전공의 이탈 규모가 큰 대형병원뿐 아니라 공공병원에도 대처하기 어려울 정도로 경영난이 확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앞서 서울대병원은 500억원이던 ‘마이너스통장’의 대출 규모를 1000억원까지 늘리는 등 경영위기 진화에 나섰다. 세브란스·강남세브란스병원 등을 운영하는 연세의료원과 서울아산병원도 지난 15일 병원 수입이 급감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비상경영체제로 전환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공공병원의 위기에 대해 인지하고 있으면서도 당장 재정지원 등 대책을 내놓을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이날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브리핑에서 재정 문제를 야기한 근본적인 이유가 전공의들이 현장을 이탈했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어서 일차적으로 기관이 책임을 지고 극복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