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보다 더 큰 ‘대정전 위기’ 오나…봄철 전력수급 불균형 심각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지훈 작성일24-03-22 00:11 조회10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지난해 호남과 경남 등지에서 처음으로 발전량을 강제로 줄이는 출력제어가 이뤄졌다. 전력 수요보다 공급이 더 많아지면서 블랙아웃(대정전)이 발생할 것에 대비한 조치였다. 올해에도 원자력과 태양광 발전량이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이러한 출력제어가 빈번하게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이호현 에너지정책실장 주재로 서울 한국전력 아트센터에서 ‘전력망 혁신 전담반(TF)’ 회의를 열고 봄철 인스타그램 팔로워 구매 전력수급 특별대책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4월 말 전력 수요가 37.3기가와트(GW)까지 내려갈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역대 최저 수요를 기록한 지난해 가을(38.4GW)보다 1.1GW나 줄어든 규모다.
전력망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수요와 공급이 일치해야 한다. 그러나 봄·가을철은 여름·겨울철 대비 냉·난방설비 사용이 줄어 전기 사용량은 감소하지만, 태양광 발전량은 가장 높아져 수급 불균형이 두드러진다. 자가소비용으로 설치한 태양광 발전량이 커지면 한전에 구매하는 전력도 그만큼 줄어들기 때문이다.
여기에 최근 원자력과 태양광 발전설비가 꾸준히 늘어나면서 전력 수급관리 어려움은 더욱 커졌다. 원자력과 태양광 발전은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보다 유연하게 발전량을 조절하기 어렵다. 산업부 관계자는 신한울 원전 가동 등의 요인으로 원전 발전량이 5.6GW, 재생에너지 발전량도 3.6GW 각각 늘었다며 통제하기 어려운 전원이 늘면서 전력수급 균형을 유지하는 게 도전적인 과제가 됐다고 설명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지난해 봄 맑은 날과 흐린 날의 전력 수요 편차는 11.1GW에 달했다. 이 편차가 커질수록 전력망도 불안정해져 대정전 발생 가능성도 커진다.
이에 따라 산업부는 미세먼지 저감을 고려해 석탄발전 운영을 최소화하고, 공공기관 자가용 태양광 운영도 최소화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올해 봄철 전력계통 안정화 대책을 지난해보다 일주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런 조치에도 전력망이 불안정해지면 정부는 발전을 중단하거나 줄이는 출력제어를 단행하기로 했다. 출력제어가 상대적으로 쉽고 연료비가 높은 석탄·LNG가 먼저 대상이 된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이후에도 필요하다면 원자력과 연료전지, 바이오, 태양광, 풍력 등 모든 발전원이 출력제어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미 재생에너지 비중이 큰 제주도에서는 송전망 문제로 태양광·풍력 발전을 중단하거나 줄이는 출력제어가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다. 2021년 65회에 였던 출력제어는 지난해에는 181회로 늘었다.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공공기관이 보유한 태양광 설비 발전을 줄이는 방식으로 출력제어가 이뤄져 민간 사업자의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했다.
다만,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수요로 기업들이 재생에너지를 자체 조달하는 움직임이 확산하는 와중에 원자력 발전도 함께 늘면서 대정전 우려는 해마다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근본적으로는 송전망 확충과 함께 수도권에 집중된 전력 소비를 분산해야 하지만, 관련 정책은 지지부진하다. 특히 전력수요가 가장 큰 반도체 산업의 경우 정부가 수도권에 집중하도록 유도하면서 이런 불균형은 단기간에 개선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장기적으로는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로 만든 전기도 원자력, 화력 등 다른 발전 방식으로 만든 전기처럼 하루 전 사전 입찰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재생에너지 비중이 점점 커짐에 따라 생기는 수급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사전에 물량과 가격을 결정하겠다는 의도다. 지금은 설비용량이 1메가와트(㎿)가 넘을 때엔 입찰 과정을 거치지 않고 사전 계획 없이, 만들어진 만큼 전력을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이호현 에너지정책실장 주재로 서울 한국전력 아트센터에서 ‘전력망 혁신 전담반(TF)’ 회의를 열고 봄철 인스타그램 팔로워 구매 전력수급 특별대책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4월 말 전력 수요가 37.3기가와트(GW)까지 내려갈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역대 최저 수요를 기록한 지난해 가을(38.4GW)보다 1.1GW나 줄어든 규모다.
전력망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수요와 공급이 일치해야 한다. 그러나 봄·가을철은 여름·겨울철 대비 냉·난방설비 사용이 줄어 전기 사용량은 감소하지만, 태양광 발전량은 가장 높아져 수급 불균형이 두드러진다. 자가소비용으로 설치한 태양광 발전량이 커지면 한전에 구매하는 전력도 그만큼 줄어들기 때문이다.
여기에 최근 원자력과 태양광 발전설비가 꾸준히 늘어나면서 전력 수급관리 어려움은 더욱 커졌다. 원자력과 태양광 발전은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보다 유연하게 발전량을 조절하기 어렵다. 산업부 관계자는 신한울 원전 가동 등의 요인으로 원전 발전량이 5.6GW, 재생에너지 발전량도 3.6GW 각각 늘었다며 통제하기 어려운 전원이 늘면서 전력수급 균형을 유지하는 게 도전적인 과제가 됐다고 설명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지난해 봄 맑은 날과 흐린 날의 전력 수요 편차는 11.1GW에 달했다. 이 편차가 커질수록 전력망도 불안정해져 대정전 발생 가능성도 커진다.
이에 따라 산업부는 미세먼지 저감을 고려해 석탄발전 운영을 최소화하고, 공공기관 자가용 태양광 운영도 최소화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올해 봄철 전력계통 안정화 대책을 지난해보다 일주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런 조치에도 전력망이 불안정해지면 정부는 발전을 중단하거나 줄이는 출력제어를 단행하기로 했다. 출력제어가 상대적으로 쉽고 연료비가 높은 석탄·LNG가 먼저 대상이 된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이후에도 필요하다면 원자력과 연료전지, 바이오, 태양광, 풍력 등 모든 발전원이 출력제어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미 재생에너지 비중이 큰 제주도에서는 송전망 문제로 태양광·풍력 발전을 중단하거나 줄이는 출력제어가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다. 2021년 65회에 였던 출력제어는 지난해에는 181회로 늘었다.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공공기관이 보유한 태양광 설비 발전을 줄이는 방식으로 출력제어가 이뤄져 민간 사업자의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했다.
다만,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수요로 기업들이 재생에너지를 자체 조달하는 움직임이 확산하는 와중에 원자력 발전도 함께 늘면서 대정전 우려는 해마다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근본적으로는 송전망 확충과 함께 수도권에 집중된 전력 소비를 분산해야 하지만, 관련 정책은 지지부진하다. 특히 전력수요가 가장 큰 반도체 산업의 경우 정부가 수도권에 집중하도록 유도하면서 이런 불균형은 단기간에 개선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장기적으로는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로 만든 전기도 원자력, 화력 등 다른 발전 방식으로 만든 전기처럼 하루 전 사전 입찰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재생에너지 비중이 점점 커짐에 따라 생기는 수급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사전에 물량과 가격을 결정하겠다는 의도다. 지금은 설비용량이 1메가와트(㎿)가 넘을 때엔 입찰 과정을 거치지 않고 사전 계획 없이, 만들어진 만큼 전력을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