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답변

[위태로운 의료현장③]비로소 주목받는 ‘2차 병원’ 역할…역량 강화·지역 불균형 해소 시급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지훈 작성일24-03-20 03:11 조회10회 댓글0건

본문

경기 용인 강남병원은 2008년 지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돼 2015년부터 달빛어린이병원을, 그 이듬해부터는 소아병동을 별도로 운영하고 있는 종합병원이다. 최근 상급종합병원 중심으로 의대 증원에 반발하는 전공의들이 떠난 후 의료공백이 발생하자, 이 병원과 같은 지역 종합병원들이 응급 및 경증환자 진료를 분담해 맡고 있다.
이번 의료공백으로 인해 ‘2차 병원 역할 강화론’이 부상했다. 현 의료전달체계는 환자의 중증도에 따라 동네 병의원(1차, 경증환자)-병원·종합병원(2차, 중등증환자)-상급종합병원(3차, 중증·응급환자) 등 의료기관 종별로 다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지역·경증환자까지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을 찾는 경우가 빈번하다. 김원이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건강보험공단에서 받아 공개한 자료를 보면, 2022년 서울 ‘빅5’ 병원에서 진료받은 비수도권 환자 수는 71만3284명으로 2013년(50만425명)보다 42.5% 늘었다. 복지부에 따르면 평상시 상급종합병원 환자의 45%가량은 중등증·경증환자다.
정부는 의료전달체계를 개선하겠다고 했다. 다만 정부가 오래 묵힌 과제이다보니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이 인스타 팔로워 구매 나온다.
■ 전공의 이탈 후 ‘2차 병원’ 부상
서울의 A종합병원은 평상시 응급실 내원 환자가 하루 70~80명이었다. 전공의 집단 사직 직후인 지난달 19일부터 5일간 일평균 100명 넘는 환자가 이 병원 응급실을 찾았다. 최근엔 하루 90명대 환자가 내원한다고 한다. 외래진료 환자도 전공의 집단행동 전후로 20% 이상 늘었다. 병상 가동률은 85~90%에서 현재 90% 이상, 많게는 95%까지도 올라갔다. B종합병원에서도 전공의 집단행동 전후로 환자가 15% 정도 늘었고, 병상 가동률도 15% 높아졌다고 한다. 전원·이송 문의는 60% 증가했다.
정부가 상급종합병원에서 종합병원 진료로도 치료가 가능한 환자를 전원·이송하기도 하고, 환자 스스로 2차 병원을 찾는 사례도 늘어난 인스타 팔로워 구매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은 ‘바람직한 방향’이고 당장 2차 병원이 보건의료위기 상황에 어느 정도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한계도 있다. A병원 관계자는 갑자기 대형사고가 난다든지, 감염병이 유행한다든지 더 큰 규모의 의료위기가 닥치면 현 종합병원들이 상급종합병원의 보완 기능을 다 할 수는 없을 것이라며 전공의에 이어 교수들까지 대형병원을 나간다고 하면 환자들을 지키지 못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고 했다.
전국 35개 지방의료원은 지역의 주요한 2차 병원이지만 코로나19 이후 역량이 많이 위축된 상황이다. 지방의료원 관계자들은 정부가 2차 병원, 지방의료원의 역량 강화는 외면해왔기 때문에 당장 이번 의료공백 국면에서 역할의 한계가 있다고 말한다.
■ 정부, ‘전문병원’ 육성 추진
정부는 종합병원 중에서도 ‘전문병원’을 키우겠다고 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지난 11일 서울의 한 뇌질환 전문병원을 방문한 데 이어 12일 국무회의에서 의료체계 개선을 위해 ‘전문병원 육성책’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전문병원으로 지정되면 3년간 관리료(연평균 4000만원)와 의료질평가지원금(연평균 3억원) 등 건강보험 수가를 지원받는다. 장비나 인스타 팔로워 구매 전문의 확보 등 전문병원 유지를 위해 연 10억원 이상 드는 경우도 있다.
이상덕 대한전문병원협회장(하나이비인후과병원장)은 전문병원이 300개쯤은 돼야 의료전달체계에서 ‘허리’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지정·운영 기준은 까다롭고 수가(의료행위 대가) 대비 비용은 더 들고 하니까 병원들이 하려고 하지 않는다고 했다. 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은 지난 13일 3차 기관 기능을 하는 전문병원에 대해선 합당한 보상체계를 만들겠다고 했다.
정부는 ‘상급종합병원 문턱 높이기’를 추진한다. 경증환자가 상급종합병원을 이용할 시 본인부담 의료비를 높이는 방안을 추진하고, 동네 병의원이 아닌 2차 병원 진료의뢰서를 갖춰야 상급종합병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도 검토하고 있다.
■ 취약고리 ‘지역’은 어떻게
지역 불균형은 다른 차원의 해법을 필요로 한다. 전문병원만 해도 수도권에 편중돼 있고 강원엔 한 곳도 없다. 지역에선 의사나 간호사 등 의료인력 구하기가 더 어렵다.
‘지역완결적 의료체계 구축’을 목표로 두고 있는 정부는 ‘병원 간 네트워크’를 통해 방법을 찾겠다고 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