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답변

“한국, AI·사물인터넷·빅데이터 분석 도입률 OECD 1위”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지훈 작성일24-05-20 20:35 조회3회 댓글0건

본문

한국이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분석, 인공지능(AI) 기술 도입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다는 평가가 나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OECD가 최근 발간한 ‘디지털경제전망보고서 2024 1권’에서 국내 기업의 디지털 신기술 도입률이 이 같은 평가를 받았다고 16일 밝혔다. 해당 보고서는 OECD 디지털정책위원회가 주도해 회원국의 통계자료와 설문 응답을 바탕으로 디지털 분야의 글로벌 동향을 분석하는 것으로, 올해부터 상·하반기 발간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OECD 회원국 내 기업들은 클라우드 컴퓨팅(49%)과 사물인터넷(27%) 기술을 주로 도입하고 있으나, 빅데이터 분석(14%)과 AI(8%)는 비용상의 문제 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도입이 느린 편이었다. 소규모 기업일수록 이러한 추세가 강하게 나타났다.
한국 기업들의 디지털 기술 도입률은 다른 OECD 회원국에 비해 두드러지는 편이다. 사물인터넷(53%), 빅데이터 분석(40%), AI 기술(28%) 도입률에서 각각 OECD 1위를 차지했으며,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률(70%) 또한 5위를 차지하는 등 산업 전반에 신속하게 디지털 신기술을 적용하는 국가로 평가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1~2022년 OECD 회원국의 정보통신기술(ICT) 부문 경제는 전체 경제에 비해 2.5배 빠른 평균 5.3%의 성장률을 보였다. OECD 회원국들은 AI, 메타버스 등 새로운 기술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진흥을 위해 범국가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AI 인스타 좋아요 늘리기 학습용 데이터(2024년 기준)의 절반 이상이 영어(57%)였으며, 중국어(6%), 러시아어(3%), 프랑스어(3%), 한국어(2%) 등이 뒤를 이었다. AI 연구 인프라 수준을 보여주는 슈퍼컴퓨터 ‘톱 500’ 순위(AI 비특화 포함)에서는 미국(32%), 중국(21%), 독일(7%), 일본(6%), 프랑스(5%), 영국(3%) 등의 순이었다.
AI 연구 출판물 수(2022년 기준)는 중국, 유럽연합(EU), 미국이 선두권을 달리고 있다. 중국은 2019년 AI 연구 출판물 수와 영향력 모두 미국과 EU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AI 인력 수요가 많아지면서 각국은 고급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경쟁 중이기도 하다. 한국은 ‘AI 전문인력 국가(링크드인 회원 10만명 이상) 간 이동’ 지수가 2019년 -0.4에서 2022년에는 0.24로 집계돼 전출보다 전입 인력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새로운 기술의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리 방안도 함께 추진되고 있다. 미국의 2020 AI 이니셔티브법, 유럽의 호라이즌 유럽(연구·개발 프로그램), G7의 생성형 AI에 대한 히로시마 프로세스 등이 사례로 언급됐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