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답변

사람 간 전염 ‘사마귀’ 면역저하 땐 쉽게 감염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지훈 작성일24-05-19 16:47 조회4회 댓글0건

본문

야외활동이 늘어나는 봄철, 손과 발 등의 피부에 상처가 생기거나 땀에 젖은 상태가 지속되면 ‘사마귀’ 발병 위험이 높아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티눈이나 굳은살 등으로 오해해 스스로 뜯어내려 하거나 방치하면 다른 부위나 타인에게도 번질 수 있어 빨리 치료하는 것이 좋다.
바이러스성 피부질환인 사마귀는 ‘인유두종 바이러스(HPV)’가 피부 표면에 감염돼 발생한다. 주로 인스타 좋아요 늘리기 손과 발에 발생하는데, 두피나 얼굴, 몸통 부위 등 온몸의 피부 어디에나 생길 수 있다. 일반적으로 표면이 거칠고 튀어나온 모양의 둥근 발진이 1~4㎜ 크기로 발생하지만, 위치에 따라 표면이 매끈하거나 두께가 납작할 수도 있다.
피부 사마귀를 발생시키는 바이러스는 대부분 사람에서 사람으로 직접 접촉을 통해 전파된다. 증상이 나타났다면 같은 공간에서 생활하는 구성원들에게 알려 병변과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피부의 면역상태가 건강한 성인이라면 의도치 않게 사마귀 병변과 직접 접촉했더라도 반드시 전염되는 것은 아니므로 과도하게 불안해할 필요는 없다.
다만 면역력이 약한 소아나 청소년은 더욱 세심히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옷이나 수건, 신발 등 간접적으로 옮길 가능성도 있으므로 가급적 피부에 밀착하는 생활용품들은 개인별로 쓰는 것이 좋다.
사마귀가 육안으로 확인될 정도로 자랐다면 바이러스에 감염된 이후 수개월이 지났다고 봐야 한다. 이 때문에 감염된 경로를 확인하기는 어렵다. 초기에는 티눈이나 굳은살 등과 비슷해 보여서 스스로 긁거나 뜯는 등 제거하려다 악화돼 번지는 사례가 많다. 또 피부에 상처가 생기거나 젖어 있는 상태로 오래 있을 경우,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피부질환을 제때 치료하지 않아 피부 장벽이 손상돼 있으면 감염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치료 방법으로는 냉동치료, 약물치료, 전기소작법, 레이저치료, 면역요법 등이 있다. 치료 후 통증과 함께 물집이 잡히고, 해당 부위가 착색되기도 하나 시간이 지나며 대부분 호전된다. 다만 환자의 면역력에 따라 20% 정도는 재발할 수 있어 완치 판정을 받을 때까지 꾸준히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다.
김대현 고려대 안암병원 피부과 교수는 봄철 야외 스포츠를 즐기는 시간이 늘어나 땀을 흘릴 일이 많아지면서 손발에 크고 작은 상처가 생길 경우 사마귀가 보다 잘 발생하고 옮을 수 있다며 사마귀 병변이 다른 사람 피부와 접촉하는 것뿐 아니라 스스로 만지는 것에도 주의하고 평소 스트레스나 면역 관리에 힘써야 한다고 조언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