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답변

‘헌 집’ 한물가고…‘살 집’ 몰린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지훈 작성일24-05-19 07:17 조회1회 댓글0건

본문

공사비 급등·잇단 사업 지연 탓재건축 이익 노린 ‘몸테크’ 시들서울 구축 매매가격지수 하락세규제 완화에도 시장 전망 ‘글쎄’
실거주용 준신축으로 수요 이동
1988년 준공한 서울 노원구 상계주공9단지 전용면적 61㎡는 지난달 29일 5억9000만원에 거래됐다. 지난해 8월 이뤄진 직전 거래(6억3000만원)보다 4000만원 낮다. 호황기인 2021년 9월 신고가(8억원)를 갈아치운 것과 비교하면 2년7개월 만에 2억원 넘게 떨어졌다.
강남권도 예외가 아니다. 지난해 11월 관리처분인가를 받으며 재건축 착공 전 마지막 능선을 넘은 강남구 일원동 개포한신 전용면적 82㎡는 최근 15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2021년 9월 신고가(21억원)에서 26% 떨어진 것이다.
한때 ‘몸테크’ 열풍을 불렀던 서울 구축 아파트의 인기가 예전 같지 않다. 정부가 부동산 경기 부양을 인스타 좋아요 구매 위해 재건축 규제완화 속도전에 나섰지만 시장 반응은 미적지근하다. 고금리에 따른 공사비 인상으로 건설원가가 급등하면서, 집값만큼의 분담금을 내야 하는 사례도 속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15일 한국부동산원의 아파트 연령(준공연한)별 매매가격지수를 보면, 지난 3월 서울의 ‘준공 20년 초과’ 아파트의 매매가격지수는 93.1로 전달보다 0.08% 떨어졌다. 5년 이하(94.4), 5년 초과~10년 이하(95), 10년 초과~15년 이하(96.5), 15년 초과~20년 이하(94.3) 아파트가 0.03~0.07% 상승한 것과 달리 ‘나 홀로 하락’이다.
특히 구축 아파트가 많은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지역이 포함된 동북권의 하락폭이 0.13%로 가장 컸다.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가 있는 동남권(-0.03%)도 하락세를 벗어나지 못했다.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아파트를 비롯한 일부 고가 재건축 단지들에서 최근 신고가 거래가 간간이 나오긴 했지만 전반적인 추세로 보긴 어려운 상황이다.
부동산 상승기였던 2021년까지만 해도 헌 집 가격이 새집 가격보다 더 가파르게 오르는 ‘기현상’이 벌어졌다. 금리도 낮았던 데다 공사비 상승도 본격화하기 전이었던 만큼, 큰돈 들이지 않고 더 큰 새집을 받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컸다. 2021년 3월 당시 20년 초과 구축 아파트의 전달 대비 집값 상승률은 0.76%로, 5년 이하 신축 아파트(0.28%)를 포함한 다른 구간을 크게 앞질렀다.
그러나 미국발 고금리와 공사비 인상이 본격화된 2022년부터는 재건축 아파트의 투자 가치가 급감했다.
조합원들이 내야 할 분담금이 크게 오르고, 조합과 시공사의 갈등으로 사업이 지연되는 일도 흔했다.
일례로 상계주공5단지 재건축조합이 전용 31㎡ 기준으로 가구당 5억원의 분담금을 통보받아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 분담금은 해당 단지 시세(4억6000만원)보다 높다.
향후 2~3년간 서울의 신축 아파트 공급이 크게 부족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자 정부는 서둘러 재건축 규제완화에 나섰다. 2022년 안전진단에서 구조안전성 점수 비중을 50%에서 30%로 대폭 낮춘 데 이어, 지난 1월에는 준공 뒤 30년이 지난 노후 안전주택은 ‘안전진단’을 받지 않아도 일단 재건축에 착수할 수 있게 했다.
그러나 요즘 같은 분위기에서 시장의 기대감은 크지 않다. 대신 수요는 실거주 만족도가 높은 10년 이내 준신축으로 쏠리고 있다. 서진형 광운대 부동산법무학과 교수는 재건축 인스타 좋아요 구매 아파트의 인기는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에서 나오는데, 지금은 대폭 사라졌다며 소득 수준이 높아지고 새집에 살고자 하는 수요가 커지면서 신축과 구축의 가격 격차는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