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노조 “소프트뱅크 요구는 비상식적…라인 지분 매각 반대”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지훈 작성일24-05-18 13:38 조회1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네이버 노동조합이 네이버의 라인야후 지분 매각에 반대한다며 라인 계열 구성원들과 기술·노하우 보호를 요구하고 나섰다. 네이버가 지분 매각을 포함해 모든 가능성을 열고 일본 소프트뱅크와 라인야후를 둘러싼 협상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구성원들 의견이 어느 정도 반영될지 관심이 모인다.
민주노총 화섬식품노조 네이버지회 ‘공동성명’은 13일 입장문을 내고 라인 계열 구성원과 이들이 축적한 기술과 노하우에 대한 보호가 최우선이며, 이들을 보호하는 최선의 선택은 지분 매각을 하지 않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부를 향해서도 대한민국의 노동자들이 부당한 대우를 받지 않도록 적극적이고 단호한 조치를 요구한다고 인스타 팔로워 말했다.
공동성명은 라인이 아시아 대표 메신저로 자리잡기까진 국내에 있는 2500여명의 라인 계열 직원 외에도 네이버, 네이버클라우드 등 수많은 네이버 계열 구성원들의 헌신이 있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지분 매각은 네이버의 서비스에서 출발한 라인이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기 위해 애써온 구성원들의 열정과 노력, 기술과 경험이 일본 기업인 소프트뱅크에 넘어갈 가능성, 구성원들이 고용 불안에 놓일 가능성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공동성명은 한국 정부에도 방관자로 머물지 말아달라며 현 사태에 대해 단호히 대응할 것을 촉구했다. 노조는 보안 사고 발생 시 재발 방지를 위한 조치를 마련하고 보안을 강화하는 것이 통상적이라며 보안 사고의 대책으로 지분을 늘리겠다는 소프트뱅크의 요구는 상식적이지도 않고 부당하기까지 하다고 말했다.
네이버 노조가 ‘라인 사수’를 강하게 요구하는 배경에는 라인이 네이버에서 출발했다는 점이 깔려 있다. 네이버재팬은 2011년 6월 일본 시장에 모바일 메신저 라인을 출시했다. 이전까진 생존을 걱정하던 처지였지만 그해 3월 일어난 동일본 대지진이 상황을 바꿔놨다. 당시 음성 전화 불통으로 모바일이 유일하게 안부를 전하는 통로로 이용된 점에 주목해 일본을 겨냥한 메신저를 내놓은 것이다. 라인은 일본에서의 성공을 발판삼아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에서도 빠르게 성장했다.
네이버의 라인과 소프트뱅크가 보유한 포털 야후재팬이 통합을 발표한 건 2019년이었다. 네이버(라인페이)와 소프트뱅크(페이페이)는 간편결제 시장에서 출혈경쟁을 하던 관계였다. 양사는 라인과 야후재팬이 힘을 합치면 아시아 시장 지배력을 굳혀 글로벌 빅테크에 맞설 수 있다고 봤다. 당시 라인과 Z홀딩스(야후재팬 운영사)는 아시아 기반 글로벌 선도 AI 테크 기업이라는 목표를 내걸었다.
2021년 네이버와 소프트뱅크는 50%씩 출자해 합작법인 A홀딩스를 설립하고, 산하에 Z홀딩스를 둬 라인과 야후재팬을 운영하도록 했다. 지난해 10월 Z홀딩스와 라인, 야후재팬 등 5개사가 합병해 ‘라인야후’라는 이름으로 새출발했다. 하지만 그간 이렇다 할 통합 효과가 없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지난 1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네이버는 자사의 기술력과 노하우를 라인야후에 접목시키는 데 현실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어 지분매각을 포함한 여러 대안을 검토해 왔던 상황이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11월 네이버클라우드가 사이버 공격을 받으면서 발생한 라인야후 정보 유출 사건 이후 자본관계 재검토를 포함한 두 차례 행정지도를 내린 상태다. 소프트뱅크도 네이버의 라인야후 지분을 확보하고 싶다는 의사를 공개적으로 표명했다. 사실상 라인야후에서 한국 기업인 네이버 영향력을 줄이려는 시도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네이버는 지분 매각을 포함해 모든 가능성을 열고 소프트뱅크와 협의 중이라는 입장이다.
이번 사태를 개별 기업 문제로 인식한 정부에 대판 비판이 커지며 정치권에서도 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네이버의 경영적 판단은 별개로 두더라도 일본의 ‘선 넘은 압박’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어야 한다는 것이다.
‘공정과 정의를 위한 IT시민연대(준비위)’는 이날 일본 정부는 행정지도에서 ‘지분 매각’이라는 표현이 없었다며 한국 정부를 기만하고 있다며 국회에 진상조사위원회 구성을 요구했다.
민주노총 화섬식품노조 네이버지회 ‘공동성명’은 13일 입장문을 내고 라인 계열 구성원과 이들이 축적한 기술과 노하우에 대한 보호가 최우선이며, 이들을 보호하는 최선의 선택은 지분 매각을 하지 않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부를 향해서도 대한민국의 노동자들이 부당한 대우를 받지 않도록 적극적이고 단호한 조치를 요구한다고 인스타 팔로워 말했다.
공동성명은 라인이 아시아 대표 메신저로 자리잡기까진 국내에 있는 2500여명의 라인 계열 직원 외에도 네이버, 네이버클라우드 등 수많은 네이버 계열 구성원들의 헌신이 있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지분 매각은 네이버의 서비스에서 출발한 라인이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기 위해 애써온 구성원들의 열정과 노력, 기술과 경험이 일본 기업인 소프트뱅크에 넘어갈 가능성, 구성원들이 고용 불안에 놓일 가능성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공동성명은 한국 정부에도 방관자로 머물지 말아달라며 현 사태에 대해 단호히 대응할 것을 촉구했다. 노조는 보안 사고 발생 시 재발 방지를 위한 조치를 마련하고 보안을 강화하는 것이 통상적이라며 보안 사고의 대책으로 지분을 늘리겠다는 소프트뱅크의 요구는 상식적이지도 않고 부당하기까지 하다고 말했다.
네이버 노조가 ‘라인 사수’를 강하게 요구하는 배경에는 라인이 네이버에서 출발했다는 점이 깔려 있다. 네이버재팬은 2011년 6월 일본 시장에 모바일 메신저 라인을 출시했다. 이전까진 생존을 걱정하던 처지였지만 그해 3월 일어난 동일본 대지진이 상황을 바꿔놨다. 당시 음성 전화 불통으로 모바일이 유일하게 안부를 전하는 통로로 이용된 점에 주목해 일본을 겨냥한 메신저를 내놓은 것이다. 라인은 일본에서의 성공을 발판삼아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에서도 빠르게 성장했다.
네이버의 라인과 소프트뱅크가 보유한 포털 야후재팬이 통합을 발표한 건 2019년이었다. 네이버(라인페이)와 소프트뱅크(페이페이)는 간편결제 시장에서 출혈경쟁을 하던 관계였다. 양사는 라인과 야후재팬이 힘을 합치면 아시아 시장 지배력을 굳혀 글로벌 빅테크에 맞설 수 있다고 봤다. 당시 라인과 Z홀딩스(야후재팬 운영사)는 아시아 기반 글로벌 선도 AI 테크 기업이라는 목표를 내걸었다.
2021년 네이버와 소프트뱅크는 50%씩 출자해 합작법인 A홀딩스를 설립하고, 산하에 Z홀딩스를 둬 라인과 야후재팬을 운영하도록 했다. 지난해 10월 Z홀딩스와 라인, 야후재팬 등 5개사가 합병해 ‘라인야후’라는 이름으로 새출발했다. 하지만 그간 이렇다 할 통합 효과가 없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지난 1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네이버는 자사의 기술력과 노하우를 라인야후에 접목시키는 데 현실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어 지분매각을 포함한 여러 대안을 검토해 왔던 상황이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11월 네이버클라우드가 사이버 공격을 받으면서 발생한 라인야후 정보 유출 사건 이후 자본관계 재검토를 포함한 두 차례 행정지도를 내린 상태다. 소프트뱅크도 네이버의 라인야후 지분을 확보하고 싶다는 의사를 공개적으로 표명했다. 사실상 라인야후에서 한국 기업인 네이버 영향력을 줄이려는 시도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네이버는 지분 매각을 포함해 모든 가능성을 열고 소프트뱅크와 협의 중이라는 입장이다.
이번 사태를 개별 기업 문제로 인식한 정부에 대판 비판이 커지며 정치권에서도 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네이버의 경영적 판단은 별개로 두더라도 일본의 ‘선 넘은 압박’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어야 한다는 것이다.
‘공정과 정의를 위한 IT시민연대(준비위)’는 이날 일본 정부는 행정지도에서 ‘지분 매각’이라는 표현이 없었다며 한국 정부를 기만하고 있다며 국회에 진상조사위원회 구성을 요구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