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 팔로워 구매 가상현실 광풍에 혈세 들인 지자체 메타버스 플랫폼…시민들은 외면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지훈 작성일24-02-21 03:49 조회108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인스타 팔로워 구매 20일 오전 접속한 ‘인터넷 수암골 메타버스 페이지( 이곳은 충북 청주시가 상당구 수암골 주변 관광명소를 실제와 비슷하게 경험할 수 있도록 온라인 가상현실로 구축해 놓은 곳이다. 아바타를 생성해 메타버스에 접속하면 가상세계의 수암골 벽화마을과 카페거리, 전망대, 향교거리 등을 둘러볼 수 있다.
기자가 실제 아바타를 만들어 메타버스 속에 들어가 보니 이곳을 찾는 접속자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메타버스 속 카페거리에 있는 카페를 둘러봤지만 ‘매장정보를 찾을 수 없다’는 곳이 대부분이었다. 지난해 11월 운영을 중단한 한 카페는 메타버스 속에서 ‘영업 중’이라는 잘못된 정보가 제공됐다. 메타버스 속 향교거리도 마찬가지였다.
수암골에서 카페를 운영했던 한 업주는 수암골 메타버스가 카페 운영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가상현실 세계 인기에 편승해 전국 지자체들이 거금을 들여 만든 메타버스가 시민들의 외면을 받고 있다.
청주시는 2022년 9~12월 수암골 메타버스를 개발한 뒤 이듬해인 2023년 1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했다. 사업비는 4억8400만원이 투입됐다. 하지만 이용객은 초라한 수준이다. 지난해 12월 한 달 동안 1601명이 접속했다. 하루 51.6명이 접속한 셈이다.
청주시 관계자는 지역주민들에게 색다른 볼거리를 제공하고 지역 상인들에게도 도움을 주기 위해 메타버스 플랫폼을 구축했다며 코로나19 종식 이후 관심도 없고 그래픽 등을 수정하는데에도 큰 예산이 들다 보니 업데이트 등 사후관리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다른 지자체들이 구축한 메타버스 플랫폼도 비슷한 상황이다. 수천만원에서 수억원의 예산을 들여 만들었지만 이용객이 20여명에 불과한 사례도 있다.
2030년 개항을 앞둔 대구경북신공항 홍보를 위해 30억원을 들여 지난해 11월 오픈한 ‘대구경북신공항 메타포트’는 개점 휴업 상태다. 이곳을 방문하기 위해 게스트(손님)모드나 회원가입을 한 사람은 지난 1월 16일 기준 277명에 불과하다. 구글 플레이스토어를 통해 프로그램을 내려받은 숫자도 100회 정도에 그쳤다.
경북도가 13억원을 들여 2022년 12월 도청에 설치한 ‘메타버스 체험관’의 경우 지난해 체험관을 찾은 방문객은 4200여명으로 하루 평균 고작 12명 수준이었다. 경남 진주시가 2억5000만원을 들여 지난해 2월 구축한 ‘진주성 메타버스( 지난해 12월 한 달 동안 단 31명만 접속했다.
전북 남원시가 4억원을 들여 지난해 선보인 ‘광한루원 메타버스(play.namwon.go.kr)’는 1년 동안 2456명만이 접속했고, 대구 남구지역 맛집을 소개하는 ‘대구남구맛집 메타버스( 지난해 12월 접속자는 26명이 전부다. 2021년 10월 전국 첫 메타버스 인스타 팔로워 구매 쇼핑몰을 선보인 전북 고창군은 서비스를 중단했다.
전문가들은 충분한 사전 검토없이 시류를 쫒아 세금을 허투루 쓰는 지방자치단체들의 문제가 또다시 드러난 사례라고 지적했다. 박용선 경북도의원은 우후죽순으로 시작하는 치킨점이나 노래방처럼 경쟁적으로 달려드는 게 지방정부의 현실이라며 메타버스 사업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성복 청주대 디지털미디어디자인학과장은 지자체들이 예산을 소모하기 위해 의무적으로 메타버스를 구축하다 보니 전문가도 없고, 관련 콘텐츠도 부족하다라며 메타버스 구축에 끝내지 말고 지자체들이 벌이는 오프라인 행사처럼 메타버스와 연계한 행사 등을 지속해서 진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기자가 실제 아바타를 만들어 메타버스 속에 들어가 보니 이곳을 찾는 접속자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메타버스 속 카페거리에 있는 카페를 둘러봤지만 ‘매장정보를 찾을 수 없다’는 곳이 대부분이었다. 지난해 11월 운영을 중단한 한 카페는 메타버스 속에서 ‘영업 중’이라는 잘못된 정보가 제공됐다. 메타버스 속 향교거리도 마찬가지였다.
수암골에서 카페를 운영했던 한 업주는 수암골 메타버스가 카페 운영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가상현실 세계 인기에 편승해 전국 지자체들이 거금을 들여 만든 메타버스가 시민들의 외면을 받고 있다.
청주시는 2022년 9~12월 수암골 메타버스를 개발한 뒤 이듬해인 2023년 1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했다. 사업비는 4억8400만원이 투입됐다. 하지만 이용객은 초라한 수준이다. 지난해 12월 한 달 동안 1601명이 접속했다. 하루 51.6명이 접속한 셈이다.
청주시 관계자는 지역주민들에게 색다른 볼거리를 제공하고 지역 상인들에게도 도움을 주기 위해 메타버스 플랫폼을 구축했다며 코로나19 종식 이후 관심도 없고 그래픽 등을 수정하는데에도 큰 예산이 들다 보니 업데이트 등 사후관리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다른 지자체들이 구축한 메타버스 플랫폼도 비슷한 상황이다. 수천만원에서 수억원의 예산을 들여 만들었지만 이용객이 20여명에 불과한 사례도 있다.
2030년 개항을 앞둔 대구경북신공항 홍보를 위해 30억원을 들여 지난해 11월 오픈한 ‘대구경북신공항 메타포트’는 개점 휴업 상태다. 이곳을 방문하기 위해 게스트(손님)모드나 회원가입을 한 사람은 지난 1월 16일 기준 277명에 불과하다. 구글 플레이스토어를 통해 프로그램을 내려받은 숫자도 100회 정도에 그쳤다.
경북도가 13억원을 들여 2022년 12월 도청에 설치한 ‘메타버스 체험관’의 경우 지난해 체험관을 찾은 방문객은 4200여명으로 하루 평균 고작 12명 수준이었다. 경남 진주시가 2억5000만원을 들여 지난해 2월 구축한 ‘진주성 메타버스( 지난해 12월 한 달 동안 단 31명만 접속했다.
전북 남원시가 4억원을 들여 지난해 선보인 ‘광한루원 메타버스(play.namwon.go.kr)’는 1년 동안 2456명만이 접속했고, 대구 남구지역 맛집을 소개하는 ‘대구남구맛집 메타버스( 지난해 12월 접속자는 26명이 전부다. 2021년 10월 전국 첫 메타버스 인스타 팔로워 구매 쇼핑몰을 선보인 전북 고창군은 서비스를 중단했다.
전문가들은 충분한 사전 검토없이 시류를 쫒아 세금을 허투루 쓰는 지방자치단체들의 문제가 또다시 드러난 사례라고 지적했다. 박용선 경북도의원은 우후죽순으로 시작하는 치킨점이나 노래방처럼 경쟁적으로 달려드는 게 지방정부의 현실이라며 메타버스 사업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성복 청주대 디지털미디어디자인학과장은 지자체들이 예산을 소모하기 위해 의무적으로 메타버스를 구축하다 보니 전문가도 없고, 관련 콘텐츠도 부족하다라며 메타버스 구축에 끝내지 말고 지자체들이 벌이는 오프라인 행사처럼 메타버스와 연계한 행사 등을 지속해서 진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